사진. 게티이미지
사진. 게티이미지

[팜뉴스=김응민 기자] 거대한 내수시장과 파격적인 정책으로 의약품 시장 세계 2위 규모로 성장한 중국과 1위 자리를 고수하고자 이를 견제하는 미국 간의 ‘미-중 바이오 분쟁’이 국내 기업에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바이오협회는 15일, '미-중 바이오의약산업 패권 경쟁 속 우리의 기회'라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중국 정부의 바이오의약산업 육성 정책과 산업 성과를 살펴보고, 미-중간 패권경쟁 속에서 미국이 중국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와 국내 제약사들에게는 어떤 기회가 있을지를 분석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바이오의약분야에 있어 시장규모나 기술, 논문 등에 측면에서 중국의 추격세가 무섭다”라며 “실제로 세계적 과학저널인 네이처의 최근 생명과학분야 인텍스를 보면 미국이 1위, 중국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4년간 연구성과 상승세를 보면 중국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표-1. 중국의 바이오의약산업 동향
표-1. 중국의 바이오의약산업 동향

실제로 중국 바이오기업과 해외기업과의 협력을 살펴보면, 2015년 56건(32억 달러)에서 2019년 93건(106억)달러로 증가했고, 2019년 기준 글로벌 임상의 약 24%(중국: 3,898건 / 이외국가: 12,140건)가 중국에서 진행되는 등 R&D 투자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했다.

중국의 바이오산업 육성 성과 중에서는 항체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2018년 이전까지 항체의약품은 3건에 불과했지만, 최근 3년 사이 10개 이상이 출시됐고 항체의약품의 임상시험 건수도 2015년 112건에서 2019년 414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항체의약품 시장의 성과는 중국 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졌다. 중국의 바이오의약품 내수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약 480억 달러 규모에서 2023년 11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5.0% 수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미국은 바이오기술을 포함해 ‘중국 제조 2025’에 포함되는 기술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자국내 바이오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투자나 유전체 정보 등 민감 데이터 분야 거래를 철저하게 감시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미국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외국인투자자가 미국 시장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FIRMA(Foreign Investment Risk Revies Modernizaion Act) 법을 발표했다. 이 법안의 핵심은 외국 자본의 미국 내 투자를 감시하는 투자심사위원회(CFIUS)의 권한을 크게 강화하는 것으로, 미국은 CFIUS 감시 대상 기술 항목에 바이오 기술을 추가했다.

이로 인해 중국의 미국 바이오기업에 대한 지분투자 규모가 FIRMA 발효 이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중국 정부도 과거에 비해 미국 거래 비중을 줄여 대미 의존도를 낮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바이오협회는 “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다국적제약사들의 중국 진출을 계속되고 있다”라며 “글로벌 공급망에 있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보다는 거대한 중국시장 공략에 더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아웃바운드 거래처 다변화 가능성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라며 “현재 중국의 아웃바운드 거래 2순위는 아시아 지역(인도, 일본, 한국, 동남아 등)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리적 위치나 기술 성숙도를 고려했을 때 한국과 일본이 거래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덧붙였다.

표-2. 한국 바이오기업의 중국 기술수출 현황
표-2. 한국 바이오기업의 중국 기술수출 현황

실제로 중국이 국내 바이오기업의 기술을 도입해가는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 기업인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 개발한 ADC항암제 후보물질을 중국기업 시스톤파마슈티컬스에서 총 4099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했고 올해 3월에는 펩트론이 중국 치루제약에게 표적항암 항체치료제 후보물질을 기술이전했다. 지난 4월에는 이뮨온시아가 중국 3D메디슨에 CD47 항암 항체치료제 후보물질은 5400억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최근 3건의 중국기업과의 대형 기술거래가 모두 항암 분야라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미-중 경쟁 상황을 고려했을 때 우리의 대중(對中) 기술수출 방향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보여진다”라고 전했다.

이어 “다만, 국내 기업과 중국 기업 간 기술거래 건수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이 우려하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는 국내 기업이 안전하게 바이오의약품 기술거래를 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기술이전 보호 프로그램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