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영업사원들이 제품의 특장점 만으로는 도저히 의료기관 영업을 전개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제약협회는 회장단 등이 미국 및 유럽을 방문하고 외국에서도 의사들에게 불필요한 금품을 제공하지 아니함은 물론 합법적인 학회지원만 전개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의료보험의약품에 대한 공정경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는 현실과 너무나 동떨어진 이론에 불과할 뿐이다.

미국제약협회는 지난 7월부터 MR윤리코드를 제정하고 의사 접대 및 판촉선물 제공 범위를 명문화, 환자 진료와 무관한 선물제공 및 지나친 접대를 금지토록 하고 있다. 아무리 환자진료와 관련된 판촉물도 100달러 이상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의사 개인에게 득이 되는 판촉물 등은 전적으로 지원할 수 없도록 했다.

메이커가 지원하는 학술행사에서 제공하는 식사 역시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수준만 인정하고 있으며 학회 등 참가비 지원도 의사 개인에게는 허용되지 않고 단체나 학회를 통해 지원토록 하고 있다.

메이커가 의사를 고문으로 위촉하고 고문료를 지불할 경우 진지한 컨설팅 등 실질적으로 고문역할을 수행할 때만 가능하며 이름만 걸어 놓고 고액을 지불하는 행위를 금하고 있다.

미국 제약협회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윤리코드를 제정한데는 메이커가 의사들에게 금품류 등 지나친 판촉비를 사용하고 이 비용이 그대로 약값이 반영,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축낸다는 사회적인 비난에 따른 것이다.

이같이 의사와 메이커간의 검은 커넥션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가에서도 청산돼야할 과제인데 국내의 경우는 더욱 심각한 상태이다.

제약협회는 작년 말 자율공정경쟁규약을 개정한데 이어 지난 3월 세부규정을 마련하고 이를 근거로 부당거래 행위를 발본색원하겠다고 기회 있을 때마다 천명하고 있다.

최근에도 제약협회 회장단이 미국 등을 순방하고 이들 국가의 사례를 들면서 회원사들에게 의료보험의약품의 자율공정경쟁에 대한 재무장을 요구했다.

그러나 현실은 너무나도 다르다.

메이커 영업사원들은 공정한 거래풍토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무리하며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의약분업 이후 처방권을 확보한 의사들의 입지가 강화되면서 종합병원급 의사는 물론 동네의원 의사들까지 제약사들에게 금품 등을 요구하고 있다. 분업 초기 단순 접대만으로도 만족해 하던 동네 의사들이 이제는 종합 병원급 의사 수준의 판촉을 과감히 요구하고 있는 현실이다.

제약사 영업사원들이 자사 제품을 의료기관에 디테일 할 때 타사의 경쟁 제품과 차별적인 특장점을 제시하고 의사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제약사 영업사원들은 이 같은 자사 제품의 학술적인 정보가 필요 없다고 한다.

의료기관에 의약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제품이 좋고 나쁘고는 차후 문제이고 의사들에게 얼마의 리베이트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가 관건이라는 하소연이다.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처방약 사용에 따른 플러스 알파를 요구하기 때문에 판촉비를 많이 사용하는 제약사 매출은 계속 증가하고 판촉비를 아끼는 메이커는 매출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것이 국내 제약사 디테일 척도이다. 언제까지 이같은 후진국성 영업을 계속해야 될 것인지 생각해 볼일이다. 환자를 놓고 의사와 제약사가 서로 나누어 먹기식 처방 의약품으로 과연 양질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는지 참으로 딱한 일이 아닐수 없다.

의약품 거래에서 부당거래가 청산되고 자율공정거래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의사들이 우월적인 마인드가 개선돼야 하며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는 뒷돈이라도 제공하겠다는 경영자들의 경영방침이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것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