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응민 기자] 코로나19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주목 받은 제약바이오 섹터는 팬데믹 기간 동안 역대 최대 규모의 공모금액을 기록하는 등 국내 IPO 시장 흥행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술특례상장에 대한 심사기준 강화와 밸류에이션 조정 등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처럼 높아진 문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많은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증시에 입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 전문가들은 변화한 트렌드에 적합한 상장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산하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연구회장 이재현, 이하 K-BD Group)가 지난 14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2022년도 제1회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전략 포럼'에서는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의 최신 투자 트렌드와 IPO 전략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
 

# 새로 출범한 尹 정부, 제약바이오 산업에 '우호적 환경' 조성될 것

먼저 새롭게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제약바이오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면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됐다.

헬스케어 전문 경영·전략 컨설팅 기업 현앤파트너스코리아의 김현욱 대표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제시한 국내 헬스케어 산업 정책 목표들은 크게 ▲제약바이오 산업의 효율성 증진 ▲직·간접 R&D 비용지원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확대 및 규제 마련 등 3가지로 압축된다.

김현욱 대표는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 및 제도에 관련된 내용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제약바이오 혁신위원회를 설치하는 것이다"라며 "제약바이오 산업은 기본적으로 규제 산업이다. 모든 것을 하나로 묶는 컨트롤 타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복지부와 과기부, 산자부 등 다양한 주체들이 규제 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업무 추진이 비효율적이고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라며 "국무총리 직속 기관의 컨트롤 타워가 설립돼 전주기 관리(기초연구·임상시험·글로벌 진출) 정책을 총괄한다면 효율성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 현앤파트너스코리아 김현욱 대표
사진. 현앤파트너스코리아 김현욱 대표

실제로 이미 해외에서는 오래 전부터 보건의료 R&D 분야에서 컨트롤 타워를 설립해 연구개발과 세제지원, 규제개선, 인력양성 등을 포괄적으로 수행해 왔다.

미국 대통령 직속의 미국연방보건원(NIH)의 경우, 민간 기업을 비롯해 대학과 연구소의 R&D 투자를 지원하고 보건의료 R&D의 대부분을 총괄하고 있다. 작년 기준 NIH에 배정된 예산은 약 430억 달러이며 이는 미국 국가 총 R&D 예산의 30%를 차지하는 규모다.

고가 약 및 중증·희귀질환 치료제에 대한 신속등재제도 도입에 대한 분석도 있었다. 제약바이오 회사에게 있어 '시간=돈'인 까닭에 인허가 기간이 단축되면 그만큼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현욱 대표는 "현재 심평원의 약제 급여적정성 평가 기간은 약 120~150일 가량이며 건보공단의 약가 협상기간은 60일이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라며 "하지만 새롭게 제시된 공약에 따르면 심평원 선평가 후 조건 충족 시, 심평원 후평가와 건보공단 약가 협상이 동시에 진행된다"라고 전했다.

이어 "평가와 약가 협상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면 그만큼 등재일수가 대폭 축소될 수 있다"라며 "이는 신약개발 업체에게 있어 경영활동 상 매우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 깐깐해진 제약바이오 IPO, 핵심은 '사업성'에 달려 있다

국내 증시에 새롭게 상장하는 제약바이오 기업들 중 상당수는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증시 문턱을 통과할 수 있었다. 산업 특성상 당장의 의미 있는 실적을 내진 못하지만 기술력을 바탕으로 향후 성장성이 높은 회사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2019년부터 기술특례상장에서 바이오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한때 80%까지 육박했던 비율이 작년에는 20%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BHN인베스트먼트 강지수 전무(파트너)는 "최근 기술특례상장 기업 중에서 제약바이오 섹터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라며 "특히 2021년에는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 키워드를 중심으로 업종이 다변화하면서 그 비중이 크게 줄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뿐만이 아니다. 기존에 상장된 바이오기업들의 주가 하락으로 비상장사에 대한 밸류에이션이 타격을 입었다"라며 "2018년 이후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한 신약개발기업의 상장일 시가총액은 평균 4500억원이었지만 현재는 3500억원 수준이다. 밸류 역전 현상이 발생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 BHN인베스트먼트 강지수 전무
사진. BHN인베스트먼트 강지수 전무

이처럼 밸류에이션 조정이 발생하면서 바이오 섹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고, 이는 투자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2021년 강화된 기술특례상장 평가 기준과 2022년 하반기에 예정된 기술특례상장 가이드라인 개정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상장 난이도가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상장을 준비하는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강 전무는 '사업성 입증'에 성패가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강지수 전무는 "상장 청구 시점에 필요한 정성적인 기준들을 달성하기 위해 비상장 단계에서부터 마일스톤 관리와 자원배분 전략 등이 중요해졌다"라며 "기술특례상장에서 기술성 뿐만 아니라 사업성도 중요한 평가 지표가 되면서 구체적인 매출 근거를 제시할 필요성이 높아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공식처럼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신약개발기업이 IPO를 하려면 임상2상 진입해 있는 파이프라인 하나와 유의미한 라이선스 아웃 성과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라며 "이 과정들이 어느 한순간 갑자기 이뤄지는 것들이 아니므로 전임상 단계에서부터 한단계씩 충분한 준비를 거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라이선스 아웃은 계약 상대방의 전문성과 계약금(upfront) 규모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실사과정이나 협상 과정에서 거래가 파기될 가능성이 있어 메인 파트너 외에도 백업 파트너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파이프라인도 임상 중단과 같은 실패 가능성을 고려해 추가적인 후속 대안들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향후 비상장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 전망은 단기적으로는 상장 리스크가 있지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이라 예상했다.

강지수 전무는 "국내 및 글로벌 바이오·의료 시장은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단기적으로는 기술특례상장 기준을 강화하는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상장에 따른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외에도 과도한 밸류에이션에 대해서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이 시각 추천뉴스
랭킹뉴스